top of page

[2025년] 울트라와이드 모니터 추천가이드 (+디시 의견정리)

작성자 사진: 정보흠정보흠

목차


 

지난번에 동생이 어디가서 장비병에 걸려왔는지 대뜸 ‘울트라와이드 모니터 사고싶다.’는게 아니겠어요? 



근데, 저는 제 남동생이

컴퓨터로 뭐하는지 

다- 안단 말이에요.



제 남동생의 평소 패턴을 보면, 얘는 절대 울트라와이드 모니터를 쓰면 안되는 사람이란 말이죠?


저는 그의 결말이 파국으로 치달을 것을 알면서도 ‘그래 하고싶은거 다해라.’, ‘니 꿈을 펼쳐라’, ‘에휴 ㅂㅅ’이라고 속으로만 생각하고 아무말도 하지 않았어요. 저 잘했죠?



명심하세요?



울트라와이드 모니터는 써도 되는 사람이 있고, 쓰면 안되는 사람이 있어요. 


나의 컴퓨터 사용 패턴이 울트라와이드 모니터에 적합하지 않으면? 24인치 모니터를 사용하느니만 못한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단 말이죠?



그래서 이번 페이지를

준비했어요.



이번 페이지에서는 여러분들이 울트라와이드 모니터를 써도 되는 사람인지, 쓰면 안되는 사람인지 싹 다- 사상검증 해드릴께요. 그리고, 어떤 울트라와이드 모니터를 추천할 수 있는지도 확실하게 알려드릴 거에요.



단순히

제 의견뿐만 아니라, 



디시 인사이드를 비롯한 여러 커뮤니티의 의견을 최대한 정리해서 알려드릴 예정이거든요?. 그러니, 신뢰도 측면은 걱정하지 않으셔도 된다는 점 참고해주세요?



울트라와이드의 윈도우작업


울트라와이드 모니터를 써도 되는 사람인지, 쓰면 안되는 사람인지를 확인 하기 위해서는, 여러분들이 모니터로 하는 작업을 3가지로 나누어서 생각해 볼 필요가 있어요.



✔️윈도우작업

✔️게이밍

✔️영상시청



먼저, 윈도우작업 측면에서 보자면, 울트라와이드 모니터는 가로가 넓기 때문에, 반드시 울트라모니터 한대로 듀얼모니터의 기능을 겸비해야되요.

(아니면, 모니터를 먼거리에 배치해야함. 실제로 일부 유저들은 이 방식으로 울트라와이드+듀얼모니터 조합을 시도) 



(울트라와이드는 듀얼모니터를 구성하기 어렵다는 클리앙 유저의견)
(울트라와이드는 듀얼모니터를 구성하기 어렵다는 클리앙 유저의견)


그런데요?



✔️윈도우 작업에 있어서 울트라와이드 모니터는 듀얼모니터보다 약간 불편해요.



왜냐?





듀얼 모니터의 경우- 위의 영상처럼 듀얼모니터 쪽으로 창을 드래그 한 다음에, 창을 전체화면으로 만들어주기만 하면 화면분할이 되는 방식이기 때문에, 매우 직관적인 화면분할이 가능하거든요?



반면



울트라와이드 모니터는 단순히 가로 사이즈가 넓은 것 뿐이기 때문에-  듀얼 모니터 처럼 이용하기 위해서는, 일일히 창을 잡아늘려서 내가 배치해줘야 하죠.



(창 조절 때문에 듀얼모니터보다 울트라와이드 모니터가 불편하다는 클리앙 의견)
(창 조절 때문에 듀얼모니터보다 울트라와이드 모니터가 불편하다는 클리앙 의견)


물론, 



이런 울트라와이드 모니터의 불편함을 어느정도 완화시킬 수 있는 방법은 있어요.





바로- PowerToys라는 어플의 FancyZones라는 기능을 이용하는 방법이 그것인데…


이 기능을 사용하면, Shift를 누르고 드래그를 하는 것 만으로도, 울트라와이드 모니터 한대를 마치 듀얼 모니터처럼 창을 나눠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단 말이죠? (실제로 대부분의 울트라모니터 유저는 PowerToys를 사용함)



그런데



이런 '별도의 기능을 이용해야만 화면분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생각보다 큰 단점이에요. 


지금, 직관적인 ‘드래그’에서, 직관적이지 않은 ‘단축키’를 이용해야 화면분할을 할 수 있는 상황이 된거 잖아요?



(울트라와이드가 불편해도 적응하면 괜찮다는 디시 유저의견)
(울트라와이드가 불편해도 적응하면 괜찮다는 디시 유저의견)


울트라와이드 모니터 유저들은 ‘익숙해지면 괜찮다.’라고 하지만, 울트라와이드 모니터를 한번도 써본 적 없는 사람들 입장에서는 ‘굳이 익숙해지면서 까지 울트라와이드 모니터를 써야되나?’ 싶을 수 밖에 없다는 거죠.



한편





"울트라와이드 모니터는 엑셀작업이 편하다."라고 주장 하시는 유저분들도 계시거든요? 이유는 ‘가로화면이 넓어서 가로축이 길게 보이기 때문’이라고 하시는데…



사실, 이건

조금 억빠인게…



일반적으로 엑셀 파일을 만들 때는, 마우스의 스크롤이 편하기 때문에- 가로축 보다 세로축을 길게 만드는 경우가 대부분이란에요? (세로로 길게 표를 만든다는 뜻)



(자신이 보는 엑셀파일은 가로축이 길지않다는 클리앙 유저의견)
(자신이 보는 엑셀파일은 가로축이 길지않다는 클리앙 유저의견)
(세로 모니터가 엑셀에 적합했다는 디시 유저의견)
(세로 모니터가 엑셀에 적합했다는 디시 유저의견)


때문에



울트라와이드 모니터를 업무용으로 사용하는 것 보다 듀얼 모니터를 업무용으로 사용하는 것이 더 편하다는 의견이 압도적으로 많은 편이죠.



(업무를 자주볼 경우 와이드보다 듀얼이 낫다는 클리앙 의견)
(업무를 자주볼 경우 와이드보다 듀얼이 낫다는 클리앙 의견)
(작업효율에는 듀얼이라는 클리앙 유저의견)
(작업효율에는 듀얼이라는 클리앙 유저의견)


다만



일부 업무의 경우, 울트라와이드 모니터의 성능을 유감없이 발휘할 수 있는데





바로 '영상편집'이죠.



저처럼 유튜브 했다가 말아먹어보신 분들은 다들 아시잖아요? 영상편집 프로그램은 ‘타임라인’이라는게 존재하는데, 편집자는 영상편집을 하는 내내 이 '타임라인'을 확대 축소해가면서 작업을 해야된단 말이에요?



(이게 타임라인임.)
(이게 타임라인임.)


당연히 ‘타임라인’은 길면 길수록? 확대 축소를 할 필요성이 줄어들기 때문에 편해질 수 밖에 없다는 거에요.



그런데



사실 영상편집 말고는, 윈도우작업 측면에서 굳이 울트라와이드 모니터를 사용해서 좋은 점이 전혀 없어요. 



네? 업무를 보는 일이

많다구요?



그냥 듀얼 모니터를 알아보세요. 현재까지도 울트라와이드 모니터듀얼 모니터에 밀려서 메인시장이라고 부를 수 있는 상황이 아니거든요? 


듀얼 모니터가 더 인기라는 것은 ‘그럴만한 이유가 있기 때문’이라는 거에요.


관련글


마침- 제가 예전에 듀얼 모니터에 대해서 작성한 글이 있거든요? 만약, 듀얼 모니터가 더 낫다고 느껴지신다면 위의 관련글 참고해주시길 바랄께요?



울트라와이드의 게이밍



한편



울트라와이드 모니터가 진짜 두각을 나타내는 분야는 윈도우작업이 아니라, 게이밍이라고 할 수 있죠. 



네? 왜 게이밍에서

두각을 나타내냐구요?



울트라와이드 모니터는 좌우의 길이가 길기 때문에, 일반 모니터로는 볼 수 없는 구역까지 보여주기 때문이에요.



울트라와이드 모니터

게임 영상을 봐주시겠어요?





바로, 이해가 되시죠?



울트라와이드 비율은 일반 비율에 비해서, 가로로 훨씬 더 넓은 영역을 보여줄 수 있고, 이것은 게이머의 몰입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요.



물론



43인치 모니터처럼 단순히 화면을 키우는 것도 몰입감에 큰 영향을 미치지만, 울트라와이드의 넓은 가로 비율은 아예 차원이 다른 몰입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있죠.



참고로



'울트라와이드 모니터의 가로가 얼마나 긴지'에 따라서, 비율과 사이즈가 정해지거든요?




비율

주요 사이즈

일반 모니터

16 : 9

24인치, 27인치, 32인치

울트라와이드 모니터

21 : 9

34인치, 39인치

울트라와이드 모니터

32 : 9

49인치



위의 표에서 보듯이



울트라와이드 모니터는 ✔️21 : 9 비율, ✔️32 : 9 비율 두가지가 존재한단 말이죠? 


당연히 ✔️32 : 9 비율이 더욱 높은 몰입감을 제공하지만, 가로 화면이 길면 길수록 불편함도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더욱 신중하게 구매하실 필요가 있어요.


 

한편



울트라와이드 모니터의 게이밍에 주의하실 부분이 있는데, 모든 게임이 울트라와이드를 지원하는 것은 아니다라는 거에요. 



네? 그럼, 어떤 게임이

울트라와이드를 지원하냐구요?


 


21 : 9 비율 지원여부

32 : 9 비율 지원여부

위쳐3

O

O

호라이즌 제로던

O

O

언차티드4

O

O

갓오브워

O

O

레드 데드 리뎀션 2

O

O

스파이더맨

O

O

사이버펑크 2077

O

O



AAA급 게임이라면, 출시한지 꽤 된 게임이라고 할지라도 어지간하면 네이티브 32 : 9 비율까지도 지원하거든요?


다만



✔️몬스터헌터 월드와 같은 사례처럼, 일부 32 : 9 비율을 아예 지원하지 않는 경우도 있고, 그 중에는 모드 같은 것으로만 지원하는 경우도 있죠.



(33개의 인디게임 중 18개의 게임만 울트라와이드를 지원한다는 디시 유저의견)
(33개의 인디게임 중 18개의 게임만 울트라와이드를 지원한다는 디시 유저의견)


특히나, 인디게임은 매우 심각한데- 한 디시 유저에 의하면, 33개의 인디게임 중에서 15개의 게임이 울트라와이드를 지원하지 않았다는 테스트 결과를 공개 했어요.



게다가



고전게임 처럼, 상당히 오래된 게임의 경우에는 전체모드에서, 레터박스 없이 화면이 강제로 잡아 당겨지는 현상이 발생한다는 보고도 있거든요? 



(오른쪽과 같은 식으로 이미지가 강제로 늘어난다는 뜻)
(오른쪽과 같은 식으로 이미지가 강제로 늘어난다는 뜻)


즉, 본인의 게임 스타일이 남들과 다른 게임을 자주하는 성향이라면, 울트라와이드 모니터를 구매하지 않는 것을 추천드려요. 



네? 그럼

남들이 하는 게임만 하면

울트라와이드 사도 되냐구요?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에요.





위쳐3 처럼, 광활한 지역을 누비는 AAA급 오픈월드 게임을 울트라와이드 모니터로 할 경우, 시야가 트여서 훨씬 뛰어난 몰입감을 경험할 수 있잖아요?



(게임에 울트라와이드가 너무좋다는 디시 유저의견 )
(게임에 울트라와이드가 너무좋다는 디시 유저의견 )


반면





리그오브레전드 같은 경쟁 게임의 경우, 화면이 길어져도 몰입감이 적을 뿐만 아니라-  미니맵 같은 UI가 시야 밖으로 밀려나기 때문에, 오히려 게임에 방해가 된단 말이죠? (경쟁 게임을 울트라와이드로 플레이 할 경우, 창모드로 플레이 할 것을 추천) 



물론



경쟁 게임이라고 해도, 울트라와이드 모니터가 항상 불리한 것만은 아니에요. 대표적으로 FC시리즈는 울트라와이드를 사용할 때 유리한 대표적인 경쟁게임이죠. 



아, 입으로 말해서 뭐해요.

영상 보세요, 영상.





우리가 평소에 하는 피파온라인은 16: 9 비율이란 말이에요? 그런데, 울트라와이드 모니터처럼 32 : 9 비율을 사용하면, 양 옆 골키퍼가 동시에 보일 정도로 시야가 넓어져요.



때문에



16 : 9 일반모니터를 사용하는 유저보다 훨씬 전술적으로 유리한 움직임을 가져가는게 가능하죠.


즉,


울트라와이드 모니터가 게이밍에 도움이 될지는 상황마다 다르기 때문에, ‘내가 주로 무슨 게임을 하는지’가 포인트가 되겠죠?



네? AAA급 게임만

한다구요?


이제 울트라와이드 사도

되냐구요? 



정말 미안한데 아직 안끝났어요.



마지막으로

그래픽카드에 대해

짚고 넘어가봐요.



일반 모니터의 화면을 ✔️21:9 비율이나 ✔️32:9 비율(울트라와이드 모니터)로 보여준다는 것은, 일반모니터에서는 보이지 않았던 부분까지 보여준다는 것을 의미하잖아요?



당연히?



우리집 그래픽카드는 일반모니터에서는 보이지 않았던 부분까지 그려야 하기 때문에, 더 많은 연산을 해야된단 말이죠?



이 말은 즉,



울트라와이드 모니터로 게임을 할 때는 컴퓨터 사양이 더 좋아야 된다는 걸 의미해요.



그럼 얼마나 좋아야되냐?



직접 계산해보면 되죠.



해상도

모니터 비율

총 픽셀 수

FHD

16 : 9

약 210만개

QHD

16 : 9

약 370만개

UHD

16 : 9

약 830만개

WQHD

21 : 9

약 500만개

DQHD

32 : 9

약 740만개



확인해 보면…



WQHD(21:9 비율) DQHD(32:9 비율) 모두, QHD를 돌릴 수 있는 그래픽카드와 UHD를 돌릴 수 있는 그래픽카드의 사이에 해당하는 성능이 필요하다는 걸, 알 수 있죠?



그런데



그래픽카드 성능이라는건 내가 하는 (1) 게임의 최적화 수준(2) 주사율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해상도 만으로는 절대로 ‘어떤 그래픽카드를 사야된다.’고 결론을 내릴 수 없단 말이에요?



다만, 일반적인

디시 유저들의 입장은…



(4k 게이밍은 4090까지 생각하라는 디시 유저의견)
(4k 게이밍은 4090까지 생각하라는 디시 유저의견)

"4k 게이밍이라면, 될 수 있는한 4090을 선택하라"고 조언하고 있고,



(QHD 게이밍에 4070S를 추천하는 디시 유저의견)
(QHD 게이밍에 4070S를 추천하는 디시 유저의견)


"QHD 게이밍이라면, 최소한 4070 또는 4070S 급에서 선택하라."고 조언을 하고 있어요. 


즉, '4070S ~4090 사이의 그래픽 카드를 선택 해야하다.'는 뜻이데, 이 부분에는 정답은 없으니, 참고로만 알아두시길 바랄께요?



울트라와이드의 영상시청


한편, 영상시청에 있어서도 ‘내가 어떤 영상을 보는지’에 따라서 울트라와이드가 독이 될 수도 있어요.



제가 아까



일반 모니터는 ✔️16:9 비율을 사용하고, 울트라와이드 모니터는 ✔️21:9 비율이나 ✔️32 : 9비율을 사용한다고 했던거 기억나시죠?



아래의 표를 봐주시겠어요?




주로 사용하는 비율

유튜브

16 : 9

넷플릭스 (영화)

21: 9 

넷플릭스 (드라마,애니)

16 : 9



사실 상



영화를 제외한 대부분의 매체는 ✔️16:9 비율를 사용하거든요? 



그렇다면, 실제로는

어떻게 되느냐?



만약 울트라와이드 모니터로 영화를 시청한다면…





✔️21:9 비율을 지원하는 영화라면, 마치 영화관 처럼 전체화면으로 ✔️21:9 비율을 완벽하게 지원하지만?  


만약, 울트라와이드 모니터로 드라마를 시청한다면…





위의 사진과 같이 좌우에 검은화면의 레터박스가 뜨게되지요.



네? 영화 보다는 

드라마나 애니를 더 많이

보신다구요?




그렇다면, 개인적으로는 울트라와이드 모니터 보다는 43인치 모니터를 좀 더 추천드려요. 제가 누누히 말하지만, 영상시청에 있어서 만큼은 ‘거거익선’이 팩트란 말이에요? 


물론, 43인치 모니터는 윈도우 작업이나 PC 게이밍에 있어서, 매우 불편하지만- 영상시청이 주력이신 분들한테는 최고의 선택일 수 밖에 없죠.


관련글



네? 역시 울트라와이드를

구매하고 싶다구요? 



알겠어요. 그렇다면 지금부터 울트라와이드 모니터를 구매하려는 분들이, 제대로 구매하실 수 있도록 제품 추천을 해드릴께요? 



제품 추천


일단, 울트라와이드 모니터에는 주로 어떤 비율과 사이즈가 있는지 표로 정리해볼께요.



사이즈

비율

가로 길이

세로 길이

전체 면적

34인치

21 : 9

80cm

34cm

2720cm²

38인치

21 : 9

88cm

38cm

3344cm²

49인치

32 : 9

120cm

33.5cm

4020cm²



이 밖에도 여러가지 사이즈가 있긴 한데, 대부분은 중소기업의 제품에 사용되는 저품질 패널이기 때문에- 걔네들은 무시하셔도 좋아요.



특히나



자주 사용되는 울트라와이드 모니터의 사이즈는 ✔️34인치(21:9 비율) 와 ✔️49인치(32:9 비율)거든요?



먼저 ✔️34인치(21:9 비율) 모니터부터 알아볼께요?


모델명

브랜드

소재지

인지도등급

U34E2M

AOC(알파스캔)

대만

★★★★

LC34G55TW…

삼성전자

대한민국

★★★★★

34GS95QE

LG전자

대한민국

★★★★★





  • U34E2M

AOC(알파스캔)에서 출시한 34인치 울트라와이드 모니터에요.


✔️VA 패널

✔️QHD 해상도

✔️100hz 주사율


...을 갖고 있으면서, 매우 저렴하게 출시된 제품이거든요? 



사실 상- 

얘가 최저가에요.



물론, 한성 컴퓨터 같은 곳에서 더 저렴하게 판매되는 제품이 없는건 아니지만? 아시다시피 국내 중소기업의 경우 ✔️초기불량✔️제품 수명 이슈가 있기 때문에, 선호되는 브랜드는 아니란 말이죠?



(필립스(AOC와 동일)의 중저가 라인업이 괜찮다는 쿨엔조이 유저의견)
(필립스(AOC와 동일)의 중저가 라인업이 괜찮다는 쿨엔조이 유저의견)


반면



AOC(알파스캔)의 경우, 중저가 라인업에 한해서 대부분의 유저들이 인정 해주고 있는 분위기죠.



물론



U34E2M 모니터(1) 저렴한 VA 패널을 사용했을 뿐만 아니라, (2) 주사율도 낮기 때문에, 뛰어난 품질을 장담할 수는 없단 말이에요?


다만, 가볍게 울트라와이드 모니터를 맛보기에는 더 없이 충분하다고 할 수 있다는 점, 참고해주시기 바랄께요?





  • LC34G55TW

삼성전자에서 출시한 34인치 울트라와이드 모니터에요.


조금 더 게이밍에 특화된 모니터를 원하신다면, LC34G55TW를 추천드릴 수 있죠.



물론, 이 제품은

VA패널을 사용했지만



삼성전자의 VA 패널은 타사에 비해서 더 높은 평가를 받고 있기도 하구요? 165hz 주사율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VA 패널의 단점인 낮은 응답속도로 인한 잔상을 어느정도 완화시킨 모니터라고 할 수 있어요.



네? 잔상이 걱정이라구요?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되요.


울트라와이드 모니터의 주 목적은 ✔️콘솔게임이나 ✔️영상시청이라고 했잖아요? 사실 이 두 컨텐츠는 잔상이 컨텐츠 경험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거든요.


즉, VA 패널과 울트라와이드 모니터는 꽤 괜찮은 조합이라고 할 수 있다는 거죠.



네? 그래도 

잔상이 걱정이라구요?





  • 34GS95QE

LG전자에서 출시한 34인치 울트라와이드 모니터에요.



이 제품은

잔상이 존재하지 않아요.



왜냐? VA 패널이 아닌 OLED 패널을 탑재했기 때문이죠.


OLED 패널은


0.03ms의 극단적인 응답속도 덕분에 잔상이 전혀 없다는 특징이 있을뿐만 아니라, 무한대의 명암비로 인해서- 차원이 다른 화질을 보여준단 말이죠?



다만



OLED 패널이 들어가는 순간- 모니터 가격이 미친듯이 치솟는다는 점은 둘째 치고, 모니터가 번인 현상에 노출 될 수 밖에 없다는 단점이 있죠.


관련글

  • OLED 모니터 추천가이드 (준비중)


이러한 OLED 패널에 관해서는, 예전에 관련 페이지를 작성한 적이 있으니- 좀 더 궁금하시다면 위의 링크를 참고해 주시기 바랄께요?



때문에



고민을 한번 해보시고 자금에 여유가 있으시다면, 34GS95QE도 한번 고려를 해주시는 것을 추천드려요.



그런데, 여러분들

그거 아세요?



사실, 34인치 모니터는 32인치 모니터보다 작아요. 때문에, 큰 모니터를 선호하는 일부 소비자들은 38인치 모니터를 선택하기도 한단 말이죠? 


관련글

  • 34인치 모니터 추천가이드 (준비중)


참고로, 이 이슈에 대해서는 위의 관련글에 자세하게 적어놨거든요? 그러므로- “나는 21:9 비율의 모니터를 원하는데 큰 화면을 선호한다.” 하는 분들의 경우 위의 관련글을 참고해주시기 바랄게요?



아무튼



다음으로 ✔️49인치(32:9 비율) 모니터를 알아봐요.



모델명

브랜드

소재지

인지도등급

S94CG954E

삼성전자

대한민국

★★★★★

49WQ95C

LG전자

대한민국

★★★★★





  • S94CG954E

삼성전자에서 출시한 49인치 울트라와이드 모니터에요.


이 제품의 최대 특징은 ‘HDR10+를 지원한다.’는 점이거든요? 



이게 왜 중요하냐?



이 제품에 쓰인 패널이 프리미엄급 VA 패널이라는 점을 나타내기 때문이에요. 즉, VA 패널이긴 하지만, 품질 측면에서는 전혀 이상이 없는 고품질 패널이라는 것을 암시하죠.



게다가



이 모델의 주사율은 240hz란 말이죠? 이는, 이 제품이 VA 패널이긴 하지만, 잔상같은 이슈에서 훨씬 자유로울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해요.



다만



분명히 ‘VA 패널에 100만원이 넘는 돈은 불합리하다.’고 생각하시는 분들도 계시겠죠?



그렇다면, 다음 제품을

추천드려요.





  • 49WQ95C

LG전자에서 출시한 49인치 울트라와이드 모니터에요.


이 제품은 LG 디스플레이의 Nano-IPS 패널이 탑재된 모니터에요. 때문에, 일반적인 모니터 사용 환경에서 특화된 밝은 화면을 보여주죠. 



다만



이 제품이 ‘가성비가 좋다.’는 평가를 내리지는 못하겠어요. 



왜냐?



49인치 모니터는 범용성이 심각하게 떨어지는 엔터테인먼트 전용 사이즈란 말이죠? 


이 제품은 고품질의 Nano-IPS 패널이 탑재되어서 비싼 것인데- 사실 Nano-IPS 패널은 엔터테인먼트에서는 큰 강점이 없다는 게 문제에요.



오히려



명암비가 높은 VA 패널이 엔터테인먼트에서 좋은 평가를 받고 있기 때문에, 가격대를 생각하면 S94CG954E(브랜드 : 삼성전자)가 훨씬 가성비가 뛰어날 수 있죠.



이 부분, 

참고해주시기 바랄게요?



AS 비교


네? 그런데 ✔️알파스캔 , ✔️삼성전자✔️LG전자의 A/S는 어떻게 다르냐구요?



브랜드

무상 AS기간

유상 AS기간

AOC (알파스캔)

1년 이내

1년 이후

삼성전자

1년 이내 (패널은 2년)

1년 이후

LG전자

1년 이내 (패널은 2년)

1년 이후


✔️알파스캔 A/S의 특징은 다음과 같아요.


  • 소비자의 편의를 최대한 이해해주는 불량 판단

  • 빠른 응대

  • 적극적인 교환 정책


여러분들도 익히 아시다시피, AOC(알파스캔)의 A/S는 대기업 이상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어요. 


대부분의 공통된 평가가, ‘부담스러울 정도로 친절하다.’든가, ‘증상 확인도 제대로 안하고 제품 교환해준다.’든가 하는 식으로, 소비자 중심의 A/S 라는 평가를 받는단 말이죠?  



한편



✔️삼성전자✔️LG전자 A/S의 특징은 다음과 같아요. 


  • 소비자의 편의를 최대한 이해해주는 불량 판단

  • 전국적인 규모의 A/S 센터망

  • 빠른 응대

  • 완벽한 출장서비스 응대


✔️AOC(알파스캔)의 경우, A/S가 훌륭하긴 하지만- A/S 센터가 서울에만 있다는 점, 서울 중심의 출장 서비스라는 점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거든요?



특히나, 

울트라와이드 모니터는



부피가 크기 때문에, 택배 서비스가 매우 번거롭단 말이죠? 때문에, 지방에서 구매 하려는 분들의 경우에는 주의하실 필요가 있어요.



네? 울트라와이드를

구매해도 좋을지

아직 고민 되신다구요?



고민이 되신다는 것은 아직 모니터에 대한 기초지식이 부족하다는것을 의미해요.


관련글

  • 모니터 입문가이드 (준비중)


만약 아직 모니터 구매를 고민하고 계신다면 위의 관련글을 한번 읽어보시겠어요? 조금 긴 장문의 글인데- 정말 모니터에 대한 모든 내용을 세세하게 다 집어넣었단 말이에요? 


모니터에 대해서 정말 철저하게 공부해보고 싶으시다면 한번 읽어보시는걸 추천드려요.



아무쪼록



이번 페이지를 통해서 원하시는 울트라와이드 모니터를 찾으셨길 바랄께요.


이상 보흠픽셀이었어요-!

대표자 : 정보흠 | bohumpixel@gmail.com

Copyright ©보흠픽셀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에 게시된 모든 콘텐츠, 게시물의 저작권은 보흠픽셀에 있습니다.

​본 사이트의 모든 콘텐츠 및 게시물에 대한 무단적인 수집, 복제, 배포를  엄격하게 금합니다.

bottom of page